목록전체 글 (67)
곰돌이 놀이터
매개변수와 전달인자는 흔히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지만 명백히 다른 용어이다.이번기회에 매개변수와 전달인자의 차이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하고 넘어가려고 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um(1, 2); } public void sum(int a, int b) { int result = a + b; System.out.println("합계 : " + result); } 매개변수( Parameter ) 함수 선언부의 괄호안에 정의된 변수로 인자를 받아서 그 값을 담아 받아들인다.즉, 실제 값은 존재하지 않으며 형태만을 나타내준다.6번째 줄 (int a, int b) 의 int a, int b 를 매개변수라고 부른다. 전달인자( Argument ) 함수 호출시 함수..
접근제어자( Access Modifier ) 란?접근을 제한하는 이유는 객체가 가진 고유의 멤버 변수값들이 외부에서 잘못 변경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사전에 멤버 변수와 함수들의 성격을 규정하고 차단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실수를 줄이기 위한 의도가 깔려 있으며, 접근 제어자의 종류는 총4가지가 있는데 public 과 private 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순으로 보다 많은 접근을 허용한다 1) public : 접근 제한이 전혀 없다.2) protected : 같은 패키지 내에서, 그리고 다른 패키지의 자손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3)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4)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
세션과 쿠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HTTP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앞서 HTTP 프로토콜을에 대해 정리한 글을 먼저 읽은 후 세션과 쿠키에 대한 글을 읽으면 도움이 될것이다. 쿠키( Cookie ) ■ 특징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가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이름, 값, 만료 날짜( 쿠키 저장기간 ), 경로 정보가 들어있다.일정 시간동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참조, 재사용 한다. ■ 원리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 접속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웹페이지를 전송받으면서 쿠키(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 )를 하드 디스크에 저장클라이언트 재방문시 웹페이지 요청과 함께 쿠키값도..
GET과 POST는 HTTP 메소드중 하나로 웹서비스 개발에 주로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두가지 모두 HTTP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무언가를 전달(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GET과 POST는 전달(요청)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명확한 차이가 있다. GET GET 방식은 URL의 끝에 ?가 붙으며 서버로 요청하고자 하는 파라미터의 이름과 값을 쌍을 이루어 붙게 된다. 또 파라미터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로 구분하는데 다음과 같은 URL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 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html+a+태그+새창 GET 방식의 특징 ■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q..
HTTP 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란 브라우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와 서버( 서비스 제공자 ) 사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통신규약 )로 WWW( World Wide Web )의 분산되어 있는 서버와 사용자 간에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만든다.HTTP는 1989년 Tim Berners Lee가 처음 설계하였으며 웹에서만 사용하는 TCP/IP 기반 프로토콜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보통 사용자와 서버)으로 요청과 응답을 전송한다. HTTP 메소드 HTTP 메소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하고HTTP 메소드의 종류에는 8가지가 있다. ■ GET..
앵귤러 공식 홈페이지 ( QuickStart 페이지 ) 웬만한 도서, 블로그 또는 교육용 사이트 보다 설명이 잘 되어있으며 환경설정에서부터 라이브 예제 및 친절한 설명을 동반한 튜토리얼, Angular 기본개념, API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ngular 란? Angular란 Google에서 만든 SPA(Single Page Application)방식의 프론트엔드 개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이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물론 모바일 웹, 네이트브 모바일과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까지 프론트 엔드 개발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사용언어는 TypeScript 혹은 ES6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개발그룹측에서는 TypeScript를 사용할 것을 더욱 권장하고 있다. 실제 관련 문서도 Ty..
회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다른 사람이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게 된다. 이렇게 소스 코드를 분석하다보면 변수나 메소드의 이름이 너무나 모호해서 이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 앞뒤전후의 코드들을 샅샅이 살펴봐야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생긴다. 이것이 얼마나 업무를 비효율적으로 만드는 코딩방식인가에 대해 느끼기 시작하면서 코드 컨벤션의 중요성을과 우리 부서내에도 이러한 표준이되는 코딩 규칙이 필요하다는것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코딩 컨벤션, 코딩 규칙을 검색하던중 아주 정리가 잘 되어있는 블로그를 발견하여 그 내용을 재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출처 출처는 Kwangshin's Positive Blog 이며, 원문인 Orcle 에서 작성한 Code Conventions for JavaTM Progra..
아무래도 주변에서 IT 관련 소식들을 접할 일이 많지 않아서 정리해놓은 리스트이다. 아직 IT 관련 지식도 부족하고 생각을 정리하는 기술도 부족하다고 생각해서아래의 미디어를 통해 하나씩 이슈를 선택하여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다. 개발자로써 코딩실력 뿐만아니라 정보력이나 생각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위의 과정이 필요할것같다. IT 미디어 IT 월드 : http://www.itworld.co.kr CIO 코리아 : http://www.ciokorea.com 블로터 : http://www.bloter.net 테크수다 : http://www.techsuda.com 지디넷코리아 : http://www.zdnet.co.kr 테크니들 : http://www.techneedle.com 아웃스탠딩 : htt..